Microsoft 사에서 배포하는 Windows7에서는 서비스라는 항목으로 운영체제 백단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들을 개인화 특성에 알맞게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컴퓨터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Windows7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서비스 항목들이 있다. 하지만,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PC라면 대다수가 필요없는 서비스 항목이 많이 존재한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항목들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1. Windows7 Service
윈도우7 서비스는 제어판의 관리도구에서 실행할 수 있다. 윈도우 서비스를 종료할지 실행할지는 각자 개인이 판단해서 수행할 몫이니 자세한 설명을 읽어가면서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간혹 사용할 수 있는 항목
#Computer Browser: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의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관리하며, 이 목록을 브라우저로 지정된 컴퓨터에 제공한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들의 컴퓨터 목록을 관리하고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지만 개인 가정집에서는 대다수 사용되지 않는 서비스다. 혹시 본인의 PC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고 공유되어있지 않다면 종료해주는게 시스템 성능에 도움이 된다.
#Bluetooth Support Service: Bluetooth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편의를 제공한다. 사용하고있는 Bluetooth 장치가 없다면 해당 서비스는 종료하는 것이 좋다.
#Certificate Propagation: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거나 스마트 카드가 무엇인지 모른다면 종료해도 좋다.
#Smart Card: 스마트 카드 관련된 서비스다.
#Smart Card Removal Policy: 스마트 카드 관련된 서비스다.
#Disk Defragmenter: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종료한다. 디스크의 공간이 넘쳐나기 때문에 최근 거의 사용되지 않는 서비스다.
#Fax: PC를 이용해 팩스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지 않는다면 종료해도 좋다.
#HomeGroup Listener: 홈 그룹 관련된 서비스이며, PC를 개인 혼자서 사용하고 있다면 종료해도 좋다.
#HomeGroup Provider: 홈 그룹 관련된 서비스다.
#Server: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된 PC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가 하나의 써버로써 사용되지 않는다면 종료해도 좋다.
#Secondary Logon: 사용자 계정을 여러개 사용하지 않는다면 서비스를 종료해도 좋다.
#Microsoft Software Shadow Copy Provider: 시스템 복원과 관련된 서비스다.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종료해도 좋다.
#Volume Shadow Copy: 시스템 복원 관련과 관련된 서비스다.
#Superfetch: Windows가 실행되면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자동으로 적재하는 서비스다. 생각보다 성능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 효과는 차이가 있으니 직접 서비스를 종료해보고 판단하길 권한다. 일반적으로 SSD가 장착된 PC라면 종료하는것이 좋다.
#Tablet PC Input Service: 테블렛 주변기기 중 필기 인식 관련 서비스다. 데스크 탑이라면 종료해도 좋다.
#Virtual Disk: 메모리가 부족한 시절에 대체 기법으로 사용되던 가상 메모리 기능이다. 메모리의 잔량이 넉넉하거나 SSD를 장착하고 있다면 종료해도 좋다.
#Block Level Backup Engine Service: 일명 고스트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본인은 나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본인이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라면 종료해도 좋다.
#Windows Defender: Windows7 플랫폼에 기본으로 내장되어있는 백신 프로그램이다. 업데이트 주기도 뜸하고 기본 검사만 수행하기 때문에 시중에 쉽게 구할 수 있는 백신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LAN AutoConfig: 무선 인터넷과 관련된 서비스로써 주로 노트북에서 활성화하는 서비스다.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서비스를 종료해도 좋다.
#Windows Search: 파일들의 색인을 만들어서 검색할때 성능 향상을 도와주는 서비스다. 색인을 만드는 작업에도 자원을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PC 내에서 파일 검색을 자주하지 않는다면 종료해도 좋을 서비스다.
3.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항목
#BitLocker Drive Encryption Service: 고정 또는 이동식 볼륨에 대한 전체 볼륨 암호화는 물론 운영 체제에 대한 보안 시작 기능을 제공한다. 주로 서버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 암호화 기술로써 기밀이 필요한 업무용 시스템이 아니라면 HDD 암호화 기술은 의미가 없다. 해당 서비스를 실행한다고 해서 네트워크 보안이 강화되는 것은 아니다. 종료한다.
#Windows Error Reporting Service: 오류 리포트 서비스로써 큰 의미없는 서비스기에 종료한다.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HTTP/1.1 서버와 데이터를 비동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로써 주로 써버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종료한다.
#Offline Files: 오프라인 파일 캐시에 대한 유지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서비스다. 종료한다.
#Diagnostic Policy Service: Windows의 문제 진단 및 해결 관련 서비스다. 진단 정책 서비스에서 Windows 구성 요소에 대해 문제 검색, 문제 해결 및 방법을 제공한다. 큰 의미가 없는 서비스로써 종료한다.
#Diagnostic Service Host: Windows의 문제 진단 및 해결 관련 서비스다. 종료한다.
#Diagnostic System Host: Windows의 문제 진단 및 해결 관련 서비스다. 종료한다.
#Diagnostic Service Host: Windows의 문제 진단 및 해결 관련 서비스다. 종료한다.
#Windows Media Center Receiver Service: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다. 종료한다.
#Windows Media Center Scheduler Service: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다. 종료한다.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다. 종료한다.
#Function Discovery Provider Host: SSDP 및 WS-D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검색 서비스다. 사용되지 않으므로 종료한다.
#Function Discovery Resource Publication: 해당 컴퓨터와 연결된 리소스를 게시하여 네트워크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사용되지 않으므로 종료한다.
#Health Key and Certificate Management: 네트워크 액세스 보호 에이전트에 대해 X.509 인증서 및 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되지 않으므로 종료한다.
#Windows CardSpace: 안전하게 디지털 ID를 만들고 관리하며 공개하는 서비스다. 사용되지 않으므로 종료한다.
#IKE and AuthIP IPsec Keying Modules: 종료한다.
#KtmRm for Distributed Transaction Coordinator: 종료한다.
#Workstation: 워크스테이션 관련된 서비스다. 종료한다.
#TCP/IP NetBIOS Helper: 종료한다.
#Distributed Transaction Coordinator: 종료한다.
#Network Access Protection Agent: 종료한다.
#Netlogon: 도메인 서버에 로그인을 도와주는 서비스다. 사용되지 않으니 종료한다.
#Network Location Awareness: 네트워크 구성과 위치 정보 저장하는 서비스다. 사용되지 않으니 종료한다.
#Program Compatibility Assistant Service: 프로그램 호환성 마법사
#Peer Networking Identity Manager: 피어 네트워킹 관련된 서비스로써 종료한다.
#Peer Networking Grouping: 피어 네트워킹 관련된 서비스로써 종료한다.
#PNRP Machine Name Publication Service: 피어 관련된 서비스로써 종료한다.
#Peer Name Resolution Protocol: 피어 관련된 서비스로써 종료한다.
#Remote Access Auto Connection Manager: 종료한다.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종료한다.
#Remote Registry: 종료한다.
#Remote Desktop Services: 종료한다.
#Remote Desktop Services UserMode Port Redirector: 종료한다.
#Remote Desktop Configuration: 종료한다.
#Remote Procedure Call (RPC) Locator: 종료한다.
#Windows Remote Management (WS-Management): 종료한다.
#RPC Endpoint Mapper: 종료한다.
#Windows Backup: 내장 백업 프로그램 관련으로써 종료한다.
#SSDP Discovery: 종료한다.
#Telephony: 종료한다.
#TPM Base Services: 종료한다.
#Distributed Link Tracking Client: 네트워크로 연결된 PC간 NTFS 파일을 전송하는 서비스로써 종료한다.
#UPnP Device Host: 종료한다.
#Windows Connect Now - Config Registrar: 종료한다.
#WinHTTP Web Proxy Auto-Discovery Service: 종료한다.
#WMI Performance Adapter: 종료한다.
'Operating System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크 관리 오류: 가상 디스크 서비스(VDS)를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0) | 2018.08.29 |
---|---|
기본디스크와 동적디스크의 차이점 (0) | 2018.08.27 |
[Windows7] EFI 시스템 파티션 삭제 및 초기화 방법 (1) | 2018.08.25 |
윈도우7(Windows7) 고정 IP 설정방법 (2) | 2017.11.08 |
윈도우7(Windows7) 서비스 최적화: 필요없는 서비스 (14) | 2017.02.21 |
[Windows7] 윈도우7 파티션 나누기: 드라이브 분할 방법 (1) | 2015.03.11 |
[자동 + 사용안함]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0
먼저 제 pc는 사내 네트워크로 사용되는 pc 입니다.
종료한다 위주로 종료를 시켰는데... 시키고 나니 서버로 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읽어들일 수 없다거나
네트워크 프린터를 못하거하는 등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사내 네트워크 접속이 안되어서 생기는 문제로 판단되는데 해결하려면 어떤 걸 다시 자동이나 수동으로 변경해야 할까요?